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인슐린2

인슐린 역사 정리_노벨상수상_당뇨병 관리하는 병 1921년, 인슐린이 발견된지 100년이 지나고 있다. 매년 11월 14일 '세계당뇨병의 날' 행사주간이다. 프레더릭 밴딩의 노벨상 수상을 기념하여 그에 생일을 '세계 당뇨병의 날'로 지정했다. 당뇨병의 역사는 기원전부터 시작되었다. 세종대왕은 훈민정음을 창제하는 등 수많은 업적을 남겼지만 어려서부터 운동을 멀리하고 육식을 좋아해서 소갈증을 앓았다는 기록이 있다. 당뇨병의 영어 어원을 보면 diabetes는 소변량이 많다 Mellitus는 달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캐나다의 프레더릭 밴팅이 인슐린 추출에 성공하면서 당뇨병 환자들은 더 오랫동안 생존하게 되었다. 고대 이집트의 파피루스에도 당뇨병은 '소변을 많이 보고 식사 조절이 필요한 질환'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13세기 중엽 고려시대부터 '.. 2022. 4. 15.
췌장 내분비샘 인슐린의 주요기능 췌장의 구조와 기능 구조: 좌상복부, 위의 뒤쪽에 위치 기능: 내분비 및 외분비 내분비샘 랑게르한스섬에서 glucagon, 인슐린, 성장호르몬억제인자(somatostain), gastrin 분비 외분비샘 전해질, 수분, 소화효소 분비 인슐린(insulin) 췌장의 베타세포에서 분비되는 단백질로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핵산을 합성, 저장 모든 세포에서 포도당 사용을 강화시켜 혈당을 저하시키는 작용 인슐린의 주요기능 탄수화물 대사 근육 지방세포의 포도당 흡수와 이용 증가시킴 지방대사 유리지방산의 산화를 줄이고 케톤형성 억제 단백질 대사 아미노산을 세포 내로 이동, 단백질로 전환하여 근육에 축적되도록 작용 인슐린과 간의 작용 * 혈당 상승시 포도당을 간이나 근육에 글리코겐으로 저장 * 혈당 저하 시 간에서.. 2022. 3. 1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