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복혈당2 당뇨병 운동 전 혈당수치 기준이 있나요? 당뇨병 관리를 할 때, 하루 2시간씩 운동을 한다고 표현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정작 운동 전 혈당을 체크하는 경우는 그리 많지 않고 운동 후 저혈당이 생긴 경우에도 혈당검사를 할 수 있음에도 바로 저혈당 간식을 먼저 먹는 경우가 많아요. 저혈당이 회복되었을 무렵에는 고혈당에 노출이 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어요. 운동으로 인한 저혈당을 예방하고 혈당을 목표 범위 내로 유지하기 위해 운동 중에는 다음과 같이 혈당조절 목표치를 유지하는 것을 연습해야 해요. ■ 아마릴, 디아미크롱, 디아릴, 다이그린 등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는 약물을 복용 중인 경우 운동 중 혈당 수치를 적어도 90mg/dl 이상으로 유지해야 해요. ■ 인슐린 치료를 하는 경우 운동 중 혈당 수치를 적어도 110mg/dl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2023. 2. 13. 당화혈색소 당부하검사 공복혈당 당뇨병 기본 진단검사 항목 당뇨병(diabetes mellitus, DM)으로 진단되는 과정 당뇨병의 병태생리 정상인은 하루 인슐린 40~50단위 분비,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대사 적절히 조절하고, 하지만 인슐린 부족과 분비장애와 인슐린의 작용 결함이 당뇨병 발생한다. 인슐린 절대적 부족한 상태 인슐린 분비 부족으로 인슐린 양이 실제로 부족한 경우 인슐린 상대적 부족한 상태 인슐린 분비량은 정상이나 인슐린이 세포에 작용할 때 기능에 전달장애 보이는 경우(인슐린 저항성이라고 표현한다) 당뇨병의 분류 1차성 당뇨병 IDDM, 제1형 당뇨병 췌장의 베타세포가 파괴되어 인슐린을 생성하지 못하는 당뇨병 NIDDM, 제2형 당뇨병 췌장의 베타세포에서 인슐린 분비장애나 수용체의 인슐린 저항으로 발생하는 당뇨병 (비비만형, 비만형, 유전적 .. 2022. 3. 12.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