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식후운동1 식후운동의 강도와 지속시간 혈당에 미치는 영향 제2형 당뇨병이 있는 환자의 경우 인슐린에 의한 근육에서의 포도당 흡수는 감소되어 있다. 반면, 운동시의 근육수축은 인슐린저항성이나 당뇨병에 영향을 받지 않고 포도당 흡수를 촉진 할 수 있다. 운동은 인슐린 감수성을 2-72시간 동안 급성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중등도의 유산소운동은 혈당 감소와 인슐린 감수성 증가를 즉각적으로 유발할 수 있고, 고강도의 유산소 윤동은 일시적인 고혈당을 일으킬 수 있다. 유산소 운동과 저항성 운동을 함께 하는 경우 각각 단독으로 시행했을 때보다 혈당 조절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수 있다. 낮은 강도의 지속적인 유산소운동과 저항성 운동 모두 인슐린 감수성을 향상시키고 혈당 조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저항성 운동은 근육량의 증가도 촉진할 수 있어 노인에게는 특히 더 유용하다... 2021. 12. 9.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