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혈당수치2

혈당기 mmol/L 혈당 단위 변환 이해하기 혈당기 혈당 단위 읽기에 당황하는 경우가 있다. 이전에 알고 있던 검사 결과와 달라서 놀랠 수도 있다. 이럴 때는 검사 참고치에 나오는 단위를 먼저 보아야 한다. mg/dL(밀리그램 퍼 데시리터) mmol/L(밀리몰 퍼 리터)라고 읽는다. 환산 방법은 1 mg/dl = 0.06 mmol/L이다. 100mg/dL= 5.55mmol/L 180mg/dL = 10mmol/L 혈당 정상범위 공복: 100mg/dL 미만= 대략 5.6 mmol/L 미만 식후 2시간: 140mg/dL 미만= 대략 7.8mmol/L 미만 외국에서 정상범위는 3.9-7.8mmol/L 이다. 한국에 살다 외국에 나가게 되면 그나라 혈당기를 쓰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에는 곱하기 18을 하면 된다. 7.8 mmol x18=140mg/dl로.. 2022. 5. 1.
혈당수치 연속혈당측정 CGM 슬기로운 인슐린주사 연속혈당측정 CGM 슬기로운 혈당관리 우리나라가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면서 노인 당뇨병 환자도 많아지고 있다. 그와 함께 제1형 당뇨병이 아니더라도 인슐린주사 치료를 받는 인구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 연속혈당측정 CGM 사용이 늘어나면서 인슐린 자가 투여를 시작할 때 의료진 입장에서도 인슐린 titration을 적극적으로 할 수 있고 환자입장에서도 두려움없이 인슐린 주사를 할 수 있어 혈당관리에 자신감을 갖게 한다. 라는 책을 통해 환자들에게 인슐린 용량 조절 방법을 더 쉽게 설명할 수 있고, 자가 주사하면서 혈당변화를 슬기롭게 대처할 수도 있다. 당화혈색소가 6.5% 목표 범위내로 잘 유지된다고 하더라도 자가혈당측정 하루에 한두번만으로는 혈당수치의 변동폭을 알 수는 없다. 연속혈당측정기는 나의 혈당.. 2021. 11. 2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