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Hba1c2 췌장염으로 입원 당뇨병 진단 검사항목 급성 췌장염(Acute pancreatitis) 혹은 만성췌장염(Chronic pancreatitis)으로 입원하는 경우가 있다. 급성 췌장염(Acute pancreatitis) 원인으로는 ①음주, 담석(가장 흔한 원인) ②고중성지방혈증 ③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조영술(ERCP) ④복부외상 ⑤수술 ⑥약물(azathioprine, 6-mercaptopurine, sulfonamides, estrogens, tetracycline, valproic acid, anti-HIV medications) ⑦고칼슘혈증 ⑧오디괄약근 장애(Sphincter of Oddi dysfunction) 증상/증후 복통: 지속적인 심와부, 좌측 상복부 통증(등으로 방사되는 경우가 많으며, 몸을 구부리면 통증이 줄어든다) 오심, 구토.. 2022. 9. 8. 당화혈색소 수치표와 혈당 요즘 당뇨전단계 환자들이 많아지면서 당화혈색소(A1c, hemoglobin A1c)에 대해 알고 계신 분들이 많은데요. 당뇨병 관리를 하는 분이라면 당화혈색소에 대해 아시는 분이 많습니다. 최근에는 당뇨병 환자들이 연속혈당측정기를 착용하는 경우가 많고, 연속혈당측정기는 전체적인 혈당패턴을 보기에 적합하고 당화혈색소 추정치로 홈에서 혈당 관리 지표로도 도움이 되는 혈당관리 기기에 해당합니다. 당화혈색소 수치에 대해 정리해보면, 당화혈색소는 지난 2~3개월간의 평균적인 혈당을 반영하는 검사입니다. 검사결과는 최근 한 달의 영향이 50%, 그 이전 1개월의 영향은 25% 정도 입니다. 혈당조절이 잘 안 되거나, 치료 방법이 변경된 경우에도 매 3개월마다 측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혈당조절이 안정적으로 목표 이내.. 2021. 8. 15.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