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연속혈당측정2

연속혈당측정을 이용한 혈당관리하는 법 연속혈당측정 AGP 보고서 읽고 활용하여 혈당관리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연속혈당측정기를 사용하는 분들이 많아지면서 혈당측정으로부터 얻은 자료를 잘 해석하여 인슐린 요법이나 생활패턴을 교정하는 분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다른 한편으로는 채혈침을 이용한 자가혈당 측정을 수행하지 않고 연속혈당측정(real time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s)을 이용하면 자동으로 혈당을 조절하는 것으로 오해하는 경우도 꽤 많습니다. 다회 인슐린 치료를 하는 경우 인슐린 용량조절을 위해 자가혈당측정은 적어도 3회이상 많게는 7회를 권고하기도 합니다. 연속혈당측정기는 혈당 측정에 따른 번거로움을 줄여주고, 혈당 패턴을 쉽게 파악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혈당조절을 할 수 있습니다... 2021. 9. 16.
당화혈색소 수치표와 혈당 요즘 당뇨전단계 환자들이 많아지면서 당화혈색소(A1c, hemoglobin A1c)에 대해 알고 계신 분들이 많은데요. 당뇨병 관리를 하는 분이라면 당화혈색소에 대해 아시는 분이 많습니다. 최근에는 당뇨병 환자들이 연속혈당측정기를 착용하는 경우가 많고, 연속혈당측정기는 전체적인 혈당패턴을 보기에 적합하고 당화혈색소 추정치로 홈에서 혈당 관리 지표로도 도움이 되는 혈당관리 기기에 해당합니다. 당화혈색소 수치에 대해 정리해보면, 당화혈색소는 지난 2~3개월간의 평균적인 혈당을 반영하는 검사입니다. 검사결과는 최근 한 달의 영향이 50%, 그 이전 1개월의 영향은 25% 정도 입니다. 혈당조절이 잘 안 되거나, 치료 방법이 변경된 경우에도 매 3개월마다 측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혈당조절이 안정적으로 목표 이내.. 2021. 8. 1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