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유산소운동2 인슐린저항성 개선을 위해 운동은 필수 평범한 일상이지만 큰 의미가 있다. 점심 식후 30분 때 20분 정도 가볍게 걷기는 혈당 피크를 낮추는데 도움이 된다. 햇살이 좋은 날은 밖으로 산책을 나가고, 추운 날은 비상계단을 오르기를 한다. 요즘 같은 추운 날씨에 몸을 데우지 않고 새벽운동은 찬 공기로 혈관이 급격히 수축하면서 혈압이 올라가 심장에 무리가 갈 수 있다. 고혈압, 당뇨, 심근경색, 뇌경색, 협심증 등 심장질환이 있는 경우는 새벽 운동은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추운 날씨에는 낮은 기온이 근육과 혈관을 수축시켜 허리와 관절 통증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과격한 운동은 더 조심해야 한다. 나이 들수록 준비운동은 필수다. 준비운동은 근육의 가동 범위를 늘려 운동 효과를 높일 뿐 아니라 몸 긴장을 이완시켜 부상이나 사고를 방지해준다는 점에서.. 2021. 12. 14. 식후운동의 강도와 지속시간 혈당에 미치는 영향 제2형 당뇨병이 있는 환자의 경우 인슐린에 의한 근육에서의 포도당 흡수는 감소되어 있다. 반면, 운동시의 근육수축은 인슐린저항성이나 당뇨병에 영향을 받지 않고 포도당 흡수를 촉진 할 수 있다. 운동은 인슐린 감수성을 2-72시간 동안 급성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중등도의 유산소운동은 혈당 감소와 인슐린 감수성 증가를 즉각적으로 유발할 수 있고, 고강도의 유산소 윤동은 일시적인 고혈당을 일으킬 수 있다. 유산소 운동과 저항성 운동을 함께 하는 경우 각각 단독으로 시행했을 때보다 혈당 조절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수 있다. 낮은 강도의 지속적인 유산소운동과 저항성 운동 모두 인슐린 감수성을 향상시키고 혈당 조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저항성 운동은 근육량의 증가도 촉진할 수 있어 노인에게는 특히 더 유용하다... 2021. 12. 9.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