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갑상선5

갑상선 암의 종류 유두상 암(Papillary adenocarcinoma) -40대에 많다. -갑상선 암의 60%를 차지한다. -느리게 성장하는 종양이다. -갑상선에 만질 수 있는 결절이 나타난다. -약 50%는 국소 림프절에 퍼진다. -방사선요법과 관련된 암인 경우 10~20년의 잠복기가 있을 수 있다. -전체 갑상선절제술이 필요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엽절제술이나 협부절제술을 권장한다. -예후는 갑상선에만 국한되어 있으면 예후는 좋으며 외과적 절제는 완치의 방법이 된다. 여포상 암(Follicular adenocarcinoma) -갑상선 암의 15%를 차지한다. -50대에 주로 많다. -국소 림프절에는 드물게 퍼진다. -기도나 근육, 피부, 목의 대혈관에 오게 되어 호흡곤란이나 연하곤란이 온다. -전체 갑상샘절제술 -.. 2023. 8. 4.
갑상선 호르몬의 주요기능 갑상선 호르몬의 주요기능 ■ 성장과 발달 성장호르몬의 생산에 필요하며 골 성장과 발육을 촉진한다. 중추신경계의 발달과 성숙을 도모한다. ■ 심혈관 작용 심장과 신경계를 포함한 여러 인체조직에서 카테콜아민의 작용을 증강시켜 심박출량과 심박동수를 증가시킨다. ■ 신진대사 작용 뇌, 고환, 비장을 제외한 인체 조직세포에서 산소를 소모하며 열생산을 증가시켜 모든 세포의 대사율을 조절한다. ■ 영양소 대사 탄수화물 대사 장에서 포도당과 칼락토스의 흡수를 증가시키고 간에서 당분해작용(glycolysis)을 증가시킨다. 포도당 신생작용(gluconeogenesis)과 세포의 포도당 이용을 증가시킨다. 지질대사 콜레스테롤 합성과 콜레스테롤 분해기전을 자극하고 지방분해 가전을 활성화시켜 유리지방산의 방출을 자극한다. ■.. 2023. 8. 4.
갑상선 방사성요오드 치료 후 발생하는 부작용 미각변화 방사성요오드 치료 후 발생하는 부작용 방사선에 의한 부작용으로 급성과 만성이 있습니다. 복용한 방사성 요오드는 위장관에서 흡수되어 체내에 분포한 후 갑상선암세포에 섭취되어 치료효과를 나타내지만 섭취되지 않은 방사성 요오드는 주로 소변으로 빠르게 배출됩니다. 그 외 일부 방사성 요오드는 침, 땀, 대변 등으로 몸 밖으로 배출됩니다. 따라서 방사성 요오드의 체내 경로에 있는 장기들에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방사성 요오드 투여로 인한 일시적인 침샘의 부종, 피로, 오심, 구토, 미각변화, 위염 등이 발생할 수 있으나 경미하고 일시적인 경구가 대부분입니다. 특히, 침샘의 경우 침이 많이 나오도록 수분섭취와 침샘분비 촉진이 중요하며 만성 침샘염이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방사성 요오드 치료의 주의사항.. 2023. 2. 5.
포비돈 스틱 스왑 사용시 갑상선 기능이상 환자의 주의사항 포비돈 요오드 포비돈 스틱스왑 일명 빨간약 아이들을 키우다보면 넘어져 다치는 경우가 있을 때 비상시 사용할 상처 소독약으로 적당하다. 주성분; 포비돈요오드.................0.11g(유효요오드로서 11mg) 첨가제: 농글리세린, 수산화나트륨, 시트르산, 인산수소나트륨, 정제수, 폴리옥시에틸렌옥틸페닐에테르 성상: 어두운 적갈색 액체를 흡착시킨 원형봉 형태의 탈지면 효능 효과 ; 찢긴 상처, 화상, 창상의 살균소독/궤양, 농양의 살균소독/감염 피부면의 소독/수술부위의 살균소독/주사 및 카테터 부위의 소독에 유용하다. 용법 용량 ; 1일 수회 환부에 적당량 바른다. 저장방법 ; 차광하여 실온(1~30 )보관, 기밀용기 사용상의 주의사항 다음 환자에게는 장기, 과다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갑상선기능.. 2022. 10. 5.
갑상선기능항진증, 갑상선기능저하증, 갑상선결절 이해하기 1 갑상선의 역할은 무엇일까? 갑상선은 목 앞부분에 어른의 엄지 손가락만한 크기로 좌우에 하나씩 있고 이곳에서 갑상선 호르몬이 만들어진다. 갑상선 호르몬은 태어난 신생아의 성장과 발육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며, 우리몸의 대사과정을 촉진시켜 모든 기관이나 장기들의 기능이 적절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관이다. 또한 열을 발생시켜서 체온이 적절히 유지되도록 한다. 우리 몸을 난로에 비유하자면 갑상선 호르몬은 불의 강약을 조절하는 공기통로와 같은 역할을 한다. 공기통로를 열면 불이 커지고 공기통로를 닫으면 불이 작아지는 것처럼 갑상선 호르몬이 정상보다 많으면 섭취한 영양소가 실제 몸에서 필요한 것보다 빨리 연소되면서 이로 인한 열이 발생한다. 그 결과 몸은 더워지고 땀이 많이 난고 잘 먹는데도 살이 빠지게 된다. 자.. 2021. 3. 9.
728x90
반응형